알고리즘231 [BAEKJOON]1809 Moo - Golfscript 문제 요약 알고리즘 분류: 구현 난이도: Bronze5 문제내용: 소를 출력해라 사이트 : https://www.acmicpc.net/problem/1809 1809번: Moo You’ve decided to buy a farm and start a new life. To pass some time while you wait for the title of the land to go through, produce the following ascii cow. www.acmicpc.net 문제풀이 골프스크린만 가능한 언어라서 당황할수 있는데 ""안에 출력하고 싶은 내용 작성해서 올리면 끝이다. "(___) (o o)____/ @@ \\ \\ ____,/ // // ^^ ^^" 2022. 12. 24. [BAEKJOON]1753 최단경로 - Python 문제 요약 알고리즘 분류: 다익스트라 난이도: Gold4 문제내용: 시작점 부터 각 노드간의 최단 거리를 구해라. 이동 못할 경우 'INF'를 출력해라 사이트: https://www.acmicpc.net/problem/1753 1753번: 최단경로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주어진다. (1 ≤ V ≤ 20,000, 1 ≤ E ≤ 300,000) 모든 정점에는 1부터 V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고 가정한다. 둘째 줄에는 시작 정점의 번호 K(1 ≤ K ≤ V)가 www.acmicpc.net 문제풀이 이번에는 문제 유형은 그래프 탐색중에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문제이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기본적인것을 묻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 참조하면된다. 풀이에 대한 설명은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알면 .. 2022. 12. 23. [알고리즘 이론] 최단경로 알고리즘(다익스트라) 이론 이번에 볼 알고리즘은 최단경로 알고리즘이다. A 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방법이다. 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중에서 난이도 높은 편이라서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그래프, 힙,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알아 야 이해 알수 있다. 기본 적인것을 모르면 아래 것부터 보고 이해 한다음에 다음 내용을 보면된다. 그래프: https://jih3508.tistory.com/100 [알고리즘 이론] 그래프(Grape) 이론 이번에 볼 자료구조는 그래프이다. 트리는 노드간에 부모-자식, 형제 이런 개념이 있지만 그래프는 노드하나 이상이 사이클을 가진 개념이다. 사이클이란 간선 한번만 이동 가능할때 노드 jih3508.tistory.com 힙: https://jih3508.tistory... 2022. 12. 23. [알고리즘 이론] 그래프(Grape) 이론 이번에 볼 자료구조는 그래프이다. 트리는 노드간에 부모-자식, 형제 이런 개념이 있지만 그래프는 노드하나 이상이 사이클을 가진 개념이다. 사이클이란 간선 한번만 이동 가능할때 노드가 자기 자신 노드로 돌아 올수 있다는 개념이다. 그래프에 대한 자세한 내용알고 싶으면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 해보면된다. https://namu.wiki/w/%EA%B7%B8%EB%9E%98%ED%94%84(%EC%9D%B4%EC%82%B0%EC%88%98%ED%95%99) 그래프(이산수학) - 나무위키 그래프는 그래프 이론에서 다루는 수학적 대상이다. 그래프 이론의 초기에는 그래프가 한 종류였지만, 현대에 들어 전산학, 전자공학 등의 발전으로 인해 여러 변형이 생겼다. 무향 그래프의 꼭 namu.wiki 2022. 12. 23. [BAEKJOON] 11404 플로이드 문제 요약 알고리즘 분류: 플로이드 워셜 난이도: Gold4 문제내용: 각 노드간의 최단 거리를 구해라 시작과 도착점은 같은 거리는 없다. 시작점에서 도착점까지 갈수 없으면 0으로 표시한다. 사이트: https://www.acmicpc.net/problem/11404 11404번: 플로이드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www.acmicpc.net 문제풀이 이번에는 문제 유형은 그래프 탐색 관련 문제이다. 모든 노드간의 최단 거리를 구하라는 문제가 나와있고 데이터가 최대 100으로 봤을때 플로이드 워셜 알고리즘으로 해결 할 수가 있다. 시간복잡.. 2022. 12. 21. [알고리즘 이론] 플로이드-워셜 이론 이번에 볼 알고리즘은 플로이드-워셜이다. 플로이드 워셜은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랑 비슷한점은 a → b 최단 거리를 구하는 것인데 다익스트라는 시작점과 끝점이 있다는것고 플로이드 워셜은 각 노드간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익스트라와 다르게 구현이 간단하는데 시간복잡도는 O(N^3)이라는 긴 시간 복잡도를 간진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확인 해봐라 https://namu.wiki/w/%ED%94%8C%EB%A1%9C%EC%9D%B4%EB%93%9C-%EC%9B%8C%EC%85%9C%20%EC%95%8C%EA%B3%A0%EB%A6%AC%EC%A6%98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 2022. 12. 21.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