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17 [알고리즘 이론]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알고리즘 완벽 가이드1. 분할 정복이란?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은 복잡한 문제를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하위 문제들로 나누어 해결하는 알고리즘 패러다임입니다. 이 방법론은 컴퓨터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많은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기초가 됩니다.분할 정복은 다음 세 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됩니다:분할(Divide): 원래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하위 문제로 나눕니다.정복(Conquer): 하위 문제들을 재귀적으로 해결합니다. 하위 문제가 충분히 작으면 직접 해결합니다.결합(Combine): 하위 문제들의 해결책을 결합하여 원래 문제의 해결책을 만듭니다.2. 분할 정복의 장점분할 정복 접근법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 2025. 5. 14. [알고리즘 이론] 계수 정렬(Counting Sort) 1. 계수 정렬이란?계수 정렬(Counting Sort)은 비교 기반이 아닌 정렬 알고리즘으로, 정수나 정수로 표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정렬할 때 사용됩니다. 이 알고리즘은 각 항목이 몇 번 등장하는지 세어서 정렬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특히 정수의 범위가 작을 때 매우 효율적인 알고리즘입니다.2. 계수 정렬의 기본 원리계수 정렬의 기본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습니다:입력 배열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아 범위를 결정합니다.해당 범위만큼의 크기를 가진 카운트 배열을 생성합니다.입력 배열을 순회하며 각 요소의 출현 횟수를 카운트 배열에 기록합니다.카운트 배열을 누적합으로 변환합니다(선택 사항).누적합을 이용하여 각 요소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고 결과 배열에 배치합니다.3. 계수 정렬 알고리즘 단계별 설명계수 정.. 2025. 4. 23. [알고리즘 이론] 투 포인터(Two Pointers) 설명은 나중에 올리겠다. 2024. 10. 2. [알고리즘 이론] 벨만-포드 알고리즘(Bellman-Ford) 이론 이번에 볼 알고리즘은 벨만-포드 알고리즘이다. 최단 거리를 알고리즘 구하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일반적인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나 플루이드-워셜 알고리즘이랑 다른점은 가중치가 음수인 점이다. 가중치가 음수라는 점에서 다익스트라 처럼 몇개의 간선만 선택 할 수 있는 점과 다르게 벨만-포드는 모든 간선을 봐야 된다는 점이다. 일단 벨만-포드 알고리즘을 알기위해서는 그래프에 대한 개념이 있어야 되기 때문에 그래프를 먼저 보고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래프: https://jih3508.tistory.com/100 [알고리즘 이론] 그래프(Grape) 이론 이번에 볼 자료구조는 그래프이다. 트리는 노드간에 부모-자식, 형제 이런 개념이 있지만 그래프는 노드하나 이상이 사이클을 가진 개념이다. 사이클이란 .. 2023. 1. 3. [알고리즘 이론] 스택(Stack) 이론 이본에 볼 자료구조는 스택이다. 스택은 LIFO 후입선출인 자료구조이다. 즉 먼저들어간게 나중에 들어 온다는 뜻이다. 스택에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확인해라.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3%9D 스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스택(stack)은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나열 구조이다. 그 접근 방법은 언제나 목록의 끝에서만 일어난다. 끝먼저내기 목록(Pushdown list)이라고도 한다. 스택은 ko.wikipedia.org 2022. 12. 29. [알고리즘 이론] 최단경로 알고리즘(다익스트라) 이론 이번에 볼 알고리즘은 최단경로 알고리즘이다. A 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최단 거리를 구하는 방법이다. 최단 경로 알고리즘은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중에서 난이도 높은 편이라서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그래프, 힙,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알아 야 이해 알수 있다. 기본 적인것을 모르면 아래 것부터 보고 이해 한다음에 다음 내용을 보면된다. 그래프: https://jih3508.tistory.com/100 [알고리즘 이론] 그래프(Grape) 이론 이번에 볼 자료구조는 그래프이다. 트리는 노드간에 부모-자식, 형제 이런 개념이 있지만 그래프는 노드하나 이상이 사이클을 가진 개념이다. 사이클이란 간선 한번만 이동 가능할때 노드 jih3508.tistory.com 힙: https://jih3508.tistory... 2022. 12. 2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