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 요약
- 알고리즘 분류: Stack
- 난이도: Gold2
- 문제내용:
- 중위 표기를 후위 표기로 변경해라
- 사이트: https://www.acmicpc.net/problem/1918
1918번: 후위 표기식
첫째 줄에 중위 표기식이 주어진다. 단 이 수식의 피연산자는 알파벳 대문자로 이루어지며 수식에서 한 번씩만 등장한다. 그리고 -A+B와 같이 -가 가장 앞에 오거나 AB와 같이 *가 생략되는 등의
www.acmicpc.net
문제풀이
이번에는 문제 유형은 스택 관련 문제이다. 스택에 관란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해보면된다.
자료구조 책을 보면 전위표기법, 중위표기법, 후위표기법에서 배운 내용이 있을것이다. 후위 표기법에 대한 내용은 여기에서 공부하고 그 다음 문제 푸는 방법을 보면된다.
후위 표기법에 대한 개념이 잡혀 있으면 그 개념대로 구현을 하면된다.
구현 하기전에 연산자에 대한 우선순위가 있는 낮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고 보면된다.
- () 괄호
- *, /
- +, -
사칙연산의 기본적인 연산우선 순위이다.
일단 제일 먼저 할게 결과 담을 변수와 스택 자료 구조를 선언해야 한다. 그 다음 부터 상수나 미지수는 결과에 그대로 저장하고 연산자는 아래와 같이 구현 해주면된다.
-'+', '-' : '(' 만나기 전까지 스택에서 꺼내서 결과에 저장한 다음 현재 연산자를 스택에 저장한다.
-'*', '/' : 스택에서 '*', '-' 제외하고 스택의 맨위에 만났을때 까지 스택에서 꺼내서 결과에 저장한다음 현재 연산자를 저장한다.
-'(' : 스택에 저장한다.
-')' : '(' 만날때 까지 스택에 꺼낸다.
마지막으로 문자나 상수를 결과에 다 저장하면 스택에 남은 연산자들까지 다 꺼내서 결과에 저장한다.
정리
- 문자는 결과에 바로 저장한다.
- 연산자는 위와 같은 규칙대로 구현 해준다.
- 문자열 탐색이 끝나면 스택에 남은 연산자는 다 꺼내서 결과에 저장한다.
Code
fomular = input()
stack = []
postfix = []
for f in fomular:
if f in ('+', '-'):
while stack and stack[-1] != '(':
postfix.append(stack.pop())
stack.append(f)
elif f in ('*', '/'):
while stack and stack[-1] in ('*', '/'):
postfix.append(stack.pop())
stack.append(f)
elif f == '(':
stack.append(f)
elif f == ')':
while stack and stack[-1] != '(':
postfix.append(stack.pop())
stack.pop()
else:
postfix.append(f)
while stack and stack[-1] != '(':
postfix.append(stack.pop())
print(''.join(postfix))
728x90
반응형
'알고리즘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1865 웜홀 - Python (2) | 2023.01.03 |
---|---|
[BAEKJOON]2263 트리의 순회- Python (0) | 2023.01.02 |
[BAEKJOON]1167 트리의 지름 - Python (0) | 2022.12.28 |
[BAEKJOON]2377 Pottery - Visual Basic (0) | 2022.12.28 |
[BAEKJOON]2206 벽 부수고 이동하기 - Python (0) | 2022.12.26 |